뉴스쉐어 NewsShare - 시대를 이끄는 새로운 정론!

제주 4.3 사건… 3만여 명이 희생당했다

1948년 4월 3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도민 3만여 명이 희생당한 사건

박정미 기자 | 기사입력 2019/04/03 [15:46]

제주 4.3 사건… 3만여 명이 희생당했다

1948년 4월 3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도민 3만여 명이 희생당한 사건
박정미 기자 | 입력 : 2019/04/03 [15:46]

 [뉴스쉐어=박정미 기자] 올해는 제주 4.3 사건이 발생한지 71주년이 되는 해다. 제주 4.3사건은 1948년 4월 3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에 따른 진압작전으로 도민 3만여 명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제주 4.3사건의 시작은 1947년 3월 1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주 4.3사건의 도화선 ‘3.1 발포사건’


1947년 3월 1일 제주도에서 제28주년 3.1절 기념대회가 열렸다. 당시 미군정의 권력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시위 도중 한 아이가 경찰이 탄 말에 치이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이 그대로 가려고 하자 이에 분노한 이들은 경찰에게 돌을 던졌다.


이에 경찰들은 본인에 대한 반항으로 오인하고 모여있는 군중을 향해 총을 쏘게 된다. 이 발포로 인해 초등학생과 젖먹이 엄마를 포함한 6명이 희생됐다. 시위대가 아닌 구경꾼이 경찰의 총에 맞아 사망하게 되는 안타까운 사건이었다.


◆“사과해” 민관 합동 총파업


이를 계기로 남로당 제주도위원회는 3월 10일부터 중앙정부의 사과를 요구하는 민관 합동 총파업을 열었다. 일반 시민뿐만 아니라 공무원도 참여하는 엄청난 규모의 총파업이었다. 파업에 참여한 사람들은 3.1 시위 당시 경찰의 발포에 대한 사과와 책임자의 처벌, 희생자와 유가족의 지원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미 군정과 경찰은 도민의 요구조건을 무시했고 파업에 참여한 사람들을 남로당에 선동된 좌익 세력으로 몰렸다. 그러다 1948년 경찰에 끌려간 젊은이 3명이 연달아 고문에 의해 죽는 사건이 벌어졌다.


바로 이 상황에서 남로당 제주도당이 무장투쟁을 하기로 결정했다.


◆1948년 4.3 무장봉기


4월 3일, 남로당을 주축으로 한 무장대가 봉기를 일으켰다. 이들은 경찰서와 우익 인사의 집을 습격하면서 봉기의 시작을 알렸다. 사태가 악화되는 중에 5.10 총선거는 가까워지고 있었다. 남로당 무장대는 주민을 산으로 보내서 투표에 참여하게 못하게 하거나 투표소에 불을 지르는 등 온갖 방법을 동원해서 선거를 방해했다. 남로당과 상관없는 이들도 민족분단에 반대하면서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다.


결국 제주도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5.10총선거에 참여하지 않은 지역이 됐다. 분단에 반대한 민심의 표현이었지만 이승만 정권은 자신들에 대한 도전으로 봤다. 이에 1948년 11월 17일, 제주도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초토화 작전’이라고 불리는 강경 진압에 나서게 된다.


◆1948년 11.17 초토화 작전


해안선에서 5km이상 떨어진 산간지역에 통행을 금지하며 위반하는 자에 대해서는 그 이유를 불문하고 폭도로 인정해 총살하라는 명령이 떨어졌다.

 

제주는 그야말로 학살터로 변했다. 마을의 95% 이상이 불에 타 없어지고 무고한 목숨이 수없이 희생됐다.


진압 군경과 여기에 가세한 서북청년단 등 우익단체원들은 마을 주민을 모았다. 가족 중에 청년이 사라진 집안의 사람들은 ‘도피자 가족’이라 몰아세우며 부모와 형제, 자매를 대신 죽였다. 재판절차도 없이 주민을 집단으로 사살하기도 했다.


또한, 많은 주민은 무장대에게도 피해를 입었다. 무장대의 습격을 받아 민가가 불타고 희생자도 생겼다. 이들은 토벌대와 무장대에게 이중으로 고통을 받아야만 했다.


◆2000년부터 수면 위로 드러난 4.3사건


1948년에 시작된 4.3사건은 6.25전쟁을 거쳐서 1954년이 돼서야 겨우 수그러들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제주도민 대다수가 힘겨운 시간을 보내야만 했다. 희생자들은 ‘빨갱이’라는 누명을 썼고 4.3의 진실은 매우 오랜 시간동안 수면 아래 감춰져 있었기 때문이다.


4.3의 진실은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야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했다. 2000년에 특별법이 제정되고 2003년 정부의 공식 보고서가 채택됐다.

 

2006년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처음으로 희생자와 유가족들에게 공식으로 정부 차원의 사과를 했다. 2008년에는 평화공원이 설립됐고, 2014년에는 국가추념일로 지정됐다.

 

  • 도배방지 이미지

이동
메인사진
영화 '에로티즘 시나리오', 5월 2일 개봉 확정 & 메인 포스터 공개!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광고
광고
광고